2016년 10월 6일 목요일

[Network]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게임 클라이언트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분산된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CDN은 보통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직접 연결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렇게되면 한꺼번에 많은 사용자가 몰렸을 때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지는 등의 콘텐츠 병목 현상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mazon CloudFront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Amazon CloudFront는 웹 사이트, API, 동영상 콘텐츠 또는 기타 웹 자산의 전송을 가속화하는 글로벌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이다. 다른 Amazon Web Services 제품과 통합하여 사용하면 개발자와 기업이 최소 사용 약정 없이도 콘텐츠를 최종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속도를 손쉽게 가속화할 수 있다.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8674&cid=42914&categoryId=42915
https://aws.amazon.com/ko/cloudfront/

[Network]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ig)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g)


서버의 상태에 상관없이 등록된 IP를 배포하던 전통적인 DNS 서비스를 발전시킨 형태이다. GSLB는 서버의 상태정보를 확인 후 IP 정보를 배포함으로써, 최적의 서버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하나의 도메인 주소에 대해서 여러 개의 IP주소를 넘겨줄 수 있는데, 이 기능을 이용해서 가용성 구성과 로드 밸런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가용성과 로드 밸런싱이 본 기능이 아니라서, 이런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들어 클라이언트가 표준 DNS에 질의를 할 경우, DNS 서버는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IP 목록을 확인해서 그 중 하나를 반환 할 뿐, 네트워크 지연, 성능, 트래픽 유입, 서비스 실패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영역에서 로드 밸런싱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역을 뛰어넘는 넓은 영역에서의 로드밸런싱 및 가용성 구성을 위한 좋은 솔류션이되겠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고, 이 문제를 해결한게 GSLB다.

GSLB와 DNS 작동 방식 비교


재해복구
  • DNS는 서버의 상태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서비스를 실패하는 유저가 생길 수 있다.
  • GSLB는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실패한 서버의 IP는 응답에서 제외 하므로, 유저는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로드밸런싱
  • DNS는 Round Robin 방식을 사용한다. 정교한 로드 밸런싱이 힘들다.
  • GSLB는 서버의 로드를 모니터링 한다. 로드가 적은 서버의 IP를 반환하는 식으로 정교한 로드밸런싱을 할 수 있다.
레이턴시 기반 서비스
  • DNS는 Round Robin 방식을 사용한다. 유저는 네트워크상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의 서버로 연결할 수도 있다.
  • GSLB는 각 지역별로 서버에 대한 레이턴시(latency) 정보를 가지고 있다. 유저가 접근을 하면, 유저의 지역으로 부터 가까운 서버로 연결을 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 DNS에서 유저는 Round Robin하게 서버로 연결된다.
  • GSLB는 유저의 지역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을 서비스하는 서버로 연결 할 수 있다.

[출처]

http://www.joinc.co.kr/w/man/12/GSLB

2016년 10월 5일 수요일

[AWS] Amazon Route 53


Amazon Route53 이란?


Route53은 클라우드 DNS 웹 서비스 이다.

이 서비스는 최종 사용자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으로 라우팅할 수 있는 매우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자와 기업에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Route 53는 사용자의 요청을 EC2 인스턴스, Elastic Load Balancing 로드 밸런서, S3 버킷 등 AWS에서 실행되는 인프라에 효과적으로 연결한다.

Route 53 트래픽 흐름을 사용하면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지역 DNS, 가중치 기반 라운드 로빈을 비롯하여 다양한 라우팅 유형을 통해 전역적으로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다.

기능

  • 트래픽 흐름
  •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 지역 DNS
  • Amazon VPC용 프라이빗 DNS
  • DNS 장애 조치
  • 상태 확인 및 모니터링
  • 도메인 등록
  • ELB 통합
  • 가중치 기반 라운드 로빈

[출처]

https://aws.amazon.com/ko/route53/

[Network] DNS(Domain Name System)


DNS 란?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들은 IP주소를 이용하여 서로를 구별하고 통신한다.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P주소를 이용하여야 하지만, 숫자의 연속인 IP주소를 일일이 외울 수 없기 때문에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도메인 주소 체계가 만들어졌다.


도메인 체계


도메인 체계
출처: http://www.krnic.or.kr/jsp/resources/dns/dnsInfo.jsp

도메인의 관리자는 여러 개의 호스트를 생성하는 등 kisa.or.kr 도메인을 관리할 수 있다.

DNS(Domain Name Server)는 할당된 도메인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서버로, 주로 도메인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DNS 동작 과정


DNS 동작과정
출처: http://www.netmanias.com/ko/?m=view&id=blog&no=5353

[AWS] EC2 이미지 복제



Instances에 들어가 복제할 EC2를 선택한다.


EC2 선택 후 Create Image를 클릭한다.


이미지 이름을 입력한 Create Image를 클릭한다.



AMIs에 들어가면 복제한 이미지 파일이 존재한다.

복제 할 EC2를 선택한 후 Launch를 해준다.

[AWS] Amazon EC2 공인 IP 할당


EC2 인스턴스는 기본적으로 유동 IP를 사용하므로 Restart를 할 때마다 IP 주소가 변하게 된다.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 고정되어 있는 공인 IP 할당을 해줘야 한다.


  1. Elastic IPs 클릭
  2. Allocate New Address 클릭
  3. Yes, Allocate 클릭 후 공인 IP 생성
  4. Associate Address 클릭
  5. Instance 또는 Network Interface 중 하나 지정
  6. Allow Reassociation 체크 후 Associate 클릭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공인 IP를 할당 할 수 있다. Amazon의 경우 기본적으로 5개의 무료 공인 IP를 제공한다.